안녕하세요. 15년차 유초등 교육 프로그램 기획·개발자 “페어리에듀”입니다.
오늘은 심리학자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가드너는 누구인가?
하워드 가드너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입니다. 그는 1983년에 "멀티플 인텔리전스" 이론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이전에 인지심리학자들이 주장해 온 "일반 지능(General Intelligence)" 이론에 대한 반박으로 등장했는대요. 그는 일반 지능보다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지능들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이를 "다중지능" 이론이라고 명명했습니다.
다중지능이론
그는 다양한 형태의 지능을 8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습니다.
언어-언어학적 지능
말과 글로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으로 외국어를 습득하는 능력이 포함됩니다. 이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향상된다고 합니다.
▷ 어울리는 직업군 : 작가, 사서, 변호사, 외교관
수리-논리적 지능
숫자, 기호, 법칙, 규칙을 이해하고 논리적,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입니다. 기존 지능지수(IQ)에서 강조했던 부분으로, 논리적 추론 및 숫자들의 관계나 연결성 파악 능력까지 포함됩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회계사, 과학교사
시각-공간적 지능
도형, 그림, 지도, 입체 등을 구상하고 창조하는 능력입니다. 시각적 기억력이나 공간의 시각화 능력도 포함됩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항해사, 디자이너, 건축가, 운전기사
음악적 지능
몸과 박자를 이해하고 창조하는 능력입니다. 또한 화성이나 음계와 같은 음악적 요소나 다양한 소리를 듣고 파악하여 표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가수, 연주자, 작곡가
신체-운동 지능
운동, 춤 등에 관련된 능력으로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목적에 따라 움직이고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균형감각 및 섬세한 손의 움직임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운동선수, 배우, 경호원, 도예가
대인-관계 지능
타인의 감정, 의도 등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적절한 방응을 하고 교류, 공감하는 능력입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정치가, 카운셀러, 영업사원
자기-성찰 지능
자기내면의 동기, 욕구, 감정 등을 이해하는 능력으로 개인내적지능이라고도 합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신학자, 심리학자, 작가, 예술인
자연-공감 지능
동물, 식물, 환경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능력입니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연에 관심이 많고 등식물 채집 등의 활동을 선호하며 다양한 동식물 종류에 대한 지식이 해박합니다.
▷어울리는 직업군 : 동물훈련사, 수의사, 식물학자
이러한 다중지능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작동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교육학적 시사점
다중지능이론은 교육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개개인의 지능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교육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고,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다양한 학습 방법과 교육 방법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들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을 제공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또한, 교육학에서는 평등한 교육의 원칙이 중요한데, 이는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을 인식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자원과 교육 방법이 필요하겠죠?
이러한 다중지능 이론은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하고, 교육 과정에서 다양성과 존중을 강조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교육학 분야에서는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교육 방식의 다양성과 존중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교육학자의 교육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비도와 심리 발달에 대하여, 프로이트의 심리성적발달이론 (0) | 2023.05.04 |
---|---|
발달심리학의 거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 2023.05.04 |
학생 참여와 상호작용의 중요성,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0) | 2023.05.04 |
학습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ARCS동기이론의 4가지 학습 원칙 (0) | 2023.05.03 |
잊혀지는 지식, 에빙하우스 망각곡선이론으로 이해하다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