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교육 기법·모형·모델8

초등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란?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은 실습 프로젝트와 실제 문제 해결을 통한 능동적인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 방법론입니다. 전통적인 강의와 워크시트에만 의존하는 대신 PBL은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지식을 조사하고, 탐색하며 구성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특정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시나리오에서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PBL의 이점 향상된 학생 참여 PBL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본질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학생 중심 접근 방식입니다. 자신의 관심사와 경험에 부합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은 학습에 더 많이 참여하고 투자하게 됩니다. 중요한 기술 개발 PBL을 통해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커뮤니케이션, 협업, 창.. 2023. 5. 23.
강력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설계 모형,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숙련된 건축가가 웅장한 건물을 세심하게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처럼 교육 설계자도 적합한 교수설계 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강력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합니다. 다양한 교수설계 모형 중에서 오늘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대표적인 교수설계 모형인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 목표 설정, 교수 분석, 학습자 및 환경 분석, 수행목표 진술, 평기도구 개발, 교수전략 개발, 교수자료 개발, 형성평가 실시, 교수 프로그램 수정, 총괄 평가의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수 목표 설정 교수 목표 설정 단계는 학습자가 학습을 마친 후 무엇을 배우게 되는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 2023. 5. 18.
짧기만 하면 효율적일까? 마이크로 러닝 제대로 이해하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텍스트보다 영상을 선호하며 그중에서도 '숏폼(짧은 영상)'을 선호합니다. 그리하여 틱톡, 인스타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짧은 호흡의 콘텐츠들이 어느 순간 대세가 되었습니다. 교육도 변화하는 세대에게 적합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 방식이 필요하며 그것은 적시적이고 개인화된 학습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교수 설계에 대한 가장 인기 있는 접근 방식 중 하나인 마이크로 러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마이크로 러닝이란? 마이크로 러닝은 짧은 정보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교육 접근 방식입니다.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작은 단위의 콘텐츠를 의미 있게 연결하는 것으로 영상 콘텐츠, 읽기 자료, 시뮬레이션, 대화형 모듈과 같은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콘텐츠 유형.. 2023. 5. 12.
미래 교육 학습법, 플립 러닝 vs 블렌디드 러닝 팬데믹은 전통적인 교실 수업의 공교육 체계를 흔들었습니다. 대면 교육이 온라인 중심 교육으로 전환되어 장기간 운영되었지요. 많은 전문가들은 팬데믹이 끝나도 예전과 같은 대면교육 위주의 교육은 사라질 것이며, 교실 수업과 온라인 학습이 적절히 통합된 교수 방식이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대 비대면 학습·플립러닝으로 학습 효율 높여 강동대 치위생과, 메타버스 접목한 플립러닝 수업모델 확산 운영 진행 네이버 웨일, 원격 교육 넘어 블렌디드 러닝 최적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활용 미래형 체육수업 블렌디드 러닝 연수 지난 교육 기사를 보더라도, 학교와 기업들이 변화된 교육 트렌드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플립 러닝과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플립 러닝이란? .. 2023. 5. 11.
초등 교육에서의 디자인 씽킹, 학습자와 공감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 디자인 씽킹은 디자이너들이 무엇인가를 디자인하며 문제를 풀어가던 사고방식대로 사고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사용자에 대한 공감, 창의성 및 실험을 강조하는 문제 해결 접근 방식이죠. 비즈니스에서 많이 활용되지만 초등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문제에 대한 학습자 중심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초등 교육에서 디자인 씽킹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이야기해보려합니다. 디자인씽킹이란? 앞서 설명한대로, 사용자의 요구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문제 해결 방법론입니다. 사용자와 공감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구상하고, 프로토 타입을 만들고 테스트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입니다. 디자인 씽킹의 목표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하고 구현 가능한 솔루션을 만드는 것이지요. 교육에서 사용자 중심 설계의 중요성 디자인 씽킹.. 2023. 5. 8.
효과적인 교육 자료를 만드는 단계별 접근 방식, ADDIE모형 ADDIE모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수 설계 모델 중 하나입니다. 수업 설계는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교육 자료를 만드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오늘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수 설계 모델 중 하나인 ADDIE모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ADDIE모형이란? ADDIE는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구현(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교육 설계자, 교육자가 수십 년 동안 사용해 온 교육 설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 모형은 1970년대 미 육군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1단계 : 분석 이 단계에서 교육 설계자는 학습자의 요구사항, 교육목표,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는 제약 .. 2023. 5. 8.
SCAMPER를 이용한 혁신적 사고 기법, 7가지 단계 안녕하세요. 15년차 유초등 교육 프로그램 기획·개발자 “페어리에듀”입니다. 오늘은 혁신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사고 기법인, SCAMER 기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SCAMPER기법 SCAMPER는 Substitute(대체), Combine(결합), Adapt(응용), Modify(수정), Put to other uses(다른 용도에 사용), Eliminate(제거), Reverse(반대 혹은 재배치)의 약어인데요. 이 도구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럼, 7가지 단계에 대해 알아볼까요? Substitute 대체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먼저, 어떤 부분을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만약 커.. 2023. 5. 8.
여섯 가지 관점으로 아이디어 발상, 육색사고모자기법 안녕하세요. 15년차 유초등 교육 프로그램 기획·개발자 “페어리에듀”입니다. 오늘은 “데보노”가 개발한 육색사고모자기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육색사고모자기법 이 방법은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을 위해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활용하는 기법으로, 여러 가지 색상으로 나타내는 '모자'를 사용하여 각각의 역할과 관점을 나타냅니다. 각 색깔 모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흰색 모자 (정보 수집과 분석) 흰색 모자는 사실과 정보를 나타냅니다. 이 모자를 쓸 때는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사실을 파악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문제 상황에는 어떤 사실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노란색 모자 (긍정적 사고) 노란색 모자는 긍정적인 요소와 이점을 나타냅니다. 이 모자를 쓸.. 2023. 5. 7.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