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5년차 유초등 교육 프로그램 기획·개발자 "페어리에듀"입니다.
오늘은 프로이트의 "심리성적발달이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프로이트는 누구인가?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의 의사로, 인간의 심리 구조와 기능, 성적 본능, 정신 분석 이론 등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아이들은 부모님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크다"는 주장을 하면서,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어린 시절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현대 심리학과 심리치료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이론과 방법을 기반으로 심리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리비도
리비도는 인간의 삶을 지속시키는 에너지이며 성욕을 말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과 행동이 성적 욕구와 관련이 깊다고 생각했으며, 성욕이 충족되지 않으면 심리적 충돌이 발생한다고 여겼습니다. 리비도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몸의 특정 부위로 고착하는데 리비도의 이동에 따라 심리발달이 이루어지며, 쾌락의 추구가 빈번히 좌절되면 다음 발달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그 시기에 고착됩니다.
심리성적발달단계
구강기 (0~2세)
이 시기의 리비도는 아동의 입으로 이동합니다. 아동은 입으로 세상을 탐구하고 모든 물체를 입에 넣고 촉각을 느끼며 새로운 정보를 획득합니다. 즉, 물고 씹고 빠는 것에 구강 만족감을 크게 느끼는 것이지요. 부모의 모유 수유와 유대감 형성 등으로 구강기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동은 부모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만족이 충족되지 않거나 과다한 경우,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깨무는 습관, 수다스러움, 과식, 과음, 흡연 등의 구강기적 성격이 고착됩니다.
항문기 (2~4세)
이 시기의 아동은 대소변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쾌감을 느낍니다. 아동들은 곧 기저귀 대신 변기를 이용하는 배변훈련을 받게 됩니다. 배변훈련을 통해 난생처음 부모님의 사회적 제지를 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화가 시작됩니다. 성공적인 배변훈련의 경험은 아동의 창의적 신장을 돕습니다. 단, 배변훈련이 엄격할 경우 강박욕구, 수전노적인 인색함, 수집광적인 성격으로 잘전할 수 있으며, 근육이완 쾌감에 고착될 경우 위생상 지저분하거나 낭비가 심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남근기 (4~6세)
이 시기의 아동은 남녀의 성별을 구분하게 되고 이성을 인지합니다. 아버지에게 존경심과 반발심을 동시에 가지는 이중심리가 나타나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보이기도 합니다. 여자아이도 어머니에게 반감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일렉트라 콤플렉스라고 합니다.
잠복기 (6~12세)
이 기간 동안 아동의 성적인 행동이 억압되고 도덕성이 강화됩니다. 자신의 성역할을 수용하고 동성 부모와 동일시하며 동성 친구와 강한 유대관계를 형성합니다. 고착되면 성인기 대인관계가 불안정해져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불안하고 공격적일 수 있습니다.
생식기 (12세 이상)
리비도는 다시 성기로 집중되어 생식기가 시작되고 사춘기에 접어듭니다. 부모로부터의 의존과 독립 사이에서 갈등하고, 혼란을 겪는 경우 원만한 이성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권위에 반항하거나 비행 행동을 보이는 등의 갈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출생 후 남근기까지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동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부모가 아동의 본능을 다루는 방식이 아동의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지요. 특히, 만 3세 이전까지 아동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눙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짧게는 3년, 길게는 6년동안 자녀에 대한 부모의 행동이 아동의 일생에 크나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거지요. 이 기간에는 모방학습도 발생하기 때문에 부모는 자녀 앞에서 말과 행동에 주의를 기울어야 할 것입니다.
'교육학자의 교육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험 중심, 학생 중심을 강조하는 존 듀이의 교육 철학 (0) | 2023.05.06 |
---|---|
근접발달영역과 문제해결력,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0) | 2023.05.05 |
발달심리학의 거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0) | 2023.05.04 |
학생의 다양성과 존중을 강조하는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0) | 2023.05.04 |
학생 참여와 상호작용의 중요성,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