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배우는가? 인지주의, 구성주의, 행동주의로 바라본 학습의 원리
우리는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지식을 습득할까요? 교육과 심리학 분야는 수십 년 동안 이러한 질문을 탐구해 왔고, 다양한 학습 이론이 등장했습니다. 이 분야를 형성한 세 가지 주요 이론이 있습니다. 바로, 인지주의,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인데요. 각 이론은 개인이 지식을 습득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고유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지주의,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의 원리와 관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인지주의란? 인지주의는 학습에서 기억력, 주의력, 문제 해결과 같은 정신적 학습 과정에 중점을 두고, 개인이 정보를 인식, 처리 및 저장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인지주의자들은 학습자가 정보를 조직화하고 기존의 정신적 틀과 연결함으로써 지식을 구성한다고 믿었습니다. 인지주의의 핵심 원리..
2023. 5. 22.
강력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설계 모형,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숙련된 건축가가 웅장한 건물을 세심하게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처럼 교육 설계자도 적합한 교수설계 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강력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합니다. 다양한 교수설계 모형 중에서 오늘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대표적인 교수설계 모형인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딕과 케리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 목표 설정, 교수 분석, 학습자 및 환경 분석, 수행목표 진술, 평기도구 개발, 교수전략 개발, 교수자료 개발, 형성평가 실시, 교수 프로그램 수정, 총괄 평가의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수 목표 설정 교수 목표 설정 단계는 학습자가 학습을 마친 후 무엇을 배우게 되는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
2023. 5. 18.
국영수'코' 시대, 초등학생들이 흥미로워하는 코딩 수업 유형은?
교육부, 2023년 1학기 '디지털 새싹 캠프' 운영 시작 이주호 "디지털 새싹캠프 다양화, 예산 확대 추진" 안동 남선초, 디지털 새싹캠프 운영 미래사회 대비 역량 함양 디지털 새싹 SW·AI캠프, 들어보셨나요? 대학과 기업, 공공기관이 정부 지원을 받아 전국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인공지능을 체험하고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인데요. 교육부,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고 있습니다. 올해 1~2월 겨울방학 캠프로 시작했는데 참여자가 19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방학 중 캠프의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올해 4월부터 학기 중에도 캠프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캠프 예산 지원을 확대하고 프로그램을..
2023. 5. 12.